어플리케이션기획을 하실 때 고려해야 할 두 번째 사항은 ‘앱 구현 방식’입니다. 앱을 구현하는 방법은 (1) 네이티브 앱, (2) 하이브리드 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 이 중에서 선택을 하셔서 구현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.
그러면 어떠한 경우에 하이브리드를 이용하고, 네이티브를 사용할지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이를 선택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 지금부터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먼저 네이티브 앱의 경우에는 iOS. 안드로이드 등의 OS를 비롯해서 특정 모바일에 꼭 맞게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구두를 예로 설명드리면 내 발의 사이즈와 발 볼 사이즈를 재고 이에 맞게 맞춤으로 제작한 수제화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가 조금 더 수월하실 겁니다.
주로 사용하는 분야는 소비자용 어플을 만든다던가, 게임, 그래픽이나 멀티미디어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게임 어플을 네이티브 앱을 이용해서 만들었을 때 하이브리드 앱에 비해서 성능이 높게 나타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
뿐만 아니라, 기기에서 작동되는 센서 및 알림, 하드웨어, 연락처 등에 모두 접근을 할 수 있으며, 설치를 하면 그 즉시 단말기의 홈에 아이콘이 표시가 되어 나타납니다.
하지만, 개발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한 상태이며, 플랫폼마다 따로 앱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 단점이며, 관리를 하기 위해서도 금액과 시간이 소비된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 형태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