꼼꼼한 어플리케이션 기획 문의를 위한 준비물 4가지 알려드립니다.

안녕하세요, 앱/웹 기획 전문 대행 서비스 린코퍼레이션입니다.

2021년이 되고 벌써 1개월이 지났습니다. 연초이기 때문에 창업을 준비하는 대표님들의 바쁜 모습이 그려집니다. 저희 린코퍼레이션도 많은 대표님들이 찾아주신 덕분에 바쁜 1월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.

2월 미팅도 많이 잡혀있는 상황인데요, 대표님들이 걱정하시는 부분을 직접 경험해본 저희 린코퍼레이션은 이러한 대표님의 마음에 공감해 한 분 한 분 세심하고 자세한 미팅을 해드립니다.

앱/웹 기획을 고민하고 계시는 대표님들은 주저 없이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

 

 


 

 

이번에는 아무래도 어플을 개발하기로 마음먹은 뒤 린코퍼레이션을 찾아주시는 분들에게 효과적인 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.

바로 어플 기획할 때에 효과적으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.

배경지식이나 전문지식 없이 창업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십니다. 

때문에 어플 기획을 의뢰할 때에도 이게 무슨 얘기인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이해가 잘 안 가시는 건 당연합니다.

그러므로 저희 린코퍼레이션은 이러한 대표님들의 궁금증을 해결해 드릴 수 있을 만한 좋은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.

꼼꼼한 어플리케이션 기획 의뢰를 위한 준비물 4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.


 

 

1.    기획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소개가 필요합니다.

대표님께서 기획하고자 하시는 서비스를 알아야 그에 맞는 양질의 기획서를 쓸 수 있습니다. 어떤 분야의 서비스를 생각 중인지, 누구를 타깃으로 하는지 등의 서비스 소개가 자세하면 할수록 저희에게 도움이 됩니다. 대표님의 아이디어를 마음껏 펼쳐주세요.

 


 

2.    참고 및 경쟁 서비스를 전달해 주셔야 합니다.

즉, 레퍼런스를 전달해 주시면 기획서 작성의 방향성을 정할 수 있습니다. 참고 서비스는 대표님이 개발하고자 하시는 서비스를 좀 더 구체화 하는 지표로서 역할을 합니다. 기획하고자 하는 서비스 소개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.

경쟁 서비스는 대표님이 강조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기능 및 아이덴티티를 명확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. 타 경쟁 서비스와의 비교·분석을 통해 추구하는 서비스의 방향성과 이야기를 알 수 있습니다.


 

3.    기능을 정리해 주셔야 합니다.

상세하게 정리된 기능 명세서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이러한 기능 명세서는 기획서를 꼼꼼히 작성할 수 있게 하고 혹여나 놓친 부분은 없는지 검토하고 또 검토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.

서비스에 꼭 들어가야 하는 기능들(예를 들어, 채팅, 결제, 장바구니, 댓글 등)을 정리해서 저희 린코퍼레이션에 전달해주세요. 저희 린이 빠짐 없이 챙겨드리겠습니다.


 

4.    계획 중인 예산 및 규모를 알려주세요.

생각하고 계시는 예산 및 규모를 알려주시면 기획서 작성에 도움이 됩니다. 구상하고 계시는 서비스에 따라서 기획서 작성 분량 및 기한도달라지기 때문입니다.

정부지원금 여부도 알려주시면 더욱 감사드립니다. 또한 서비스에 대한 예산 및 규모를 말씀해주시면 저희 린도 대표님의 계획에 적극 동참하여 참신한 아이디어를 생산해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

 

지금까지 앱/웹 기획 문의 시 필요한 4가지 준비물을 소개해드렸습니다.

위의 4가지와 함께라면 대표님이 개발하고자 하는 아이디어 기획의 첫 발걸음을 땐 것과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.

더불어서,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.

대표님들이 구체적인 전문지식 없이 기획서를 문의하고 의뢰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궁금한 점은 늘 발생하기 마련입니다. 문의하실 때에 이런 궁금증을 모두 해결해가세요.

저희 린은 대표님의 목소리에 늘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.

해당 준비물과 함께 저희 린코퍼레이션의 문을 두드려 주세요.

나머지는 저희 린코퍼레이션이 책임지겠습니다.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Recommended Posts